본문 바로가기
코인&선물 분석법 모음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매매방법

by TradeMaster 2023. 6. 6.

★세계 3대 코인거래소 OKX

✅수수료 30% 최대할인 가입링크: https://www.okx.com/join/73657981

✅선물수수료 지정가 0.014%, 시장가 0.035%

 

○한가지 이동평균선만을 활용하는 방법

 

주가와 한 개의 이동평균선만을 이용하는 가장 간단한 매매로서,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하면 매입신호로,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하면 매도신호로 판단하는 매매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가장 간단하여 이용하기가 편리한 반면,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서로 교차 할 때마다 모두 매매시점으로 판단하기에는 주가의 일시적이고 비정상적 등락의 속임수를 모두 매매시점으로 판단 해야하는 실수를 범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방법은 가장 간단하게 이용할 수는 있지만 빈번한 매매와 속임수로 손실 가능성이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이러한 매매시점에 관한 착오를 줄이기 위하여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서로 교차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미리 점검하면서 매매에 임하여야 하겠습니다.

 

㉠ 하루중의 최고가와 최저가가 이동평균성을 완전히 상향 또는 하향 돌파하여야 매매의 시점으로 판단합니다.

 

㉡ 종가와 이동평균선이 서로 교차하더라도 미리 정해둔 특정비율을 넘어서는 돌파폭을 보여야만 매매시점으로 인정합니다.

 

㉢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교차로 매매시점이 결정 되더라도 하루에서 3일정도의 여유를 가지고 비정상적인 거래로 인한 속임수를 방지합니다.

 

㉣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교차로 매매시점이 확인되어도 다른보조지표를 이용하여 상호교차 확인과정이 필요합니다.

 

이상의 거래조건을 바탕으로 강,약세장에 따른 적절한 검증과정을 거쳐 자기만의 독특한 매매기법을 만들어야 하겠습니다.

 

○두가지 이동평균선의 활용법

 

단기이동평균선은 매매시점포착에, . 장기 이동평균선은 추세파악에 주로 이용합니다.

 

단기간의 이동평균선 일수록 주가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세전환을 가장 빨리 나타내주는 장점도 있지만 주가의 일시적이고 비정상적인 움직임에도 예민하게 반응하여 속임수에 걸릴 경우가 많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중. 장기 이동평균선은 시세전환을 늦게 나타내주는 단점도 있지만 미세한 주가변동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주가 흐름를 확인하는 데는 신뢰 할수가 있습니다.

 

2개의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매매시점을 포착하는 방법으로

 

㉠ 장기와 단기이동평균선이 서로 교차하는 시점을 매매시점으로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돌파할 때를 매수시점으로, 반대로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이동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돌파할 때 매도시점으로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 주가와 두 이동평균선과의 위치에 따라 매매시점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주가가 두 이동평균선 위에 있을 경우를 매입시점으로, 주가가 두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을경우를 매도시점으로, 그리고 주가가 두 이동평균선 사이에 있을 경우를 관망시점으로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3가지 이동평균선의 활용법

 

3가지 이동평균선은 기간에따라 단기이동평균선. 중기이동평균선. 장기이동평균선으로 구분됩니다.

각 이동평균선의 특징으로는 기간에 따라 주가의 움직임에 대한 반응이 달라지는데 단기이동평균선은 주가의 움직임이 가장 빨리 움직이고 그 다음이 중기이동평균선, 마지막으로 장기이동평균선이 가장 늦게 서서히 움직이게 됩니다.

 

3가지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매매시점을 포착하는 방법은 상승추세와 하락추세에서의 두가지 투자전략으로 나눌수가 있습니다.

 

* 상승추세에서의 투자전략

 

㉠ 단기이동평균선이 아래에서 위로 중. 장기 이동평균선을 급속히 상향돌파할 경우에 매입신호로 봅니다.

 

㉡ 위로부터 주가.단기선.중기선.장기선의 순으로 정배열되어 나란히 상승중일 경우에는 강세국면으로 봅니다.

 

㉢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의 정배열 상태가 상당기간 지속된이후 단기이동평균선이 더이상 오르지 못하고 약해지면 천정권이 예상되는 시점으로 인식합니다.

 

㉣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밀집되어 서로 혼란하게 얽혀 있을 때는 장세의 방향이 불투명 함으로 매입을 보류하는것이 좋습니다.

* 하락추세에서의 투자전략

 

㉤ 단기이동평균선이 위에서 아래로 중. 장기 이동평균선을 급속히 하향돌파할 경우에 매도신호로 봅니다.

㉥ 위로부터 장기선. 중기선. 단기선. 주가의 순으로 역배열되어 나란히 하락중일 경우에는 약세시장으로 인식하는게 좋습니다.

㉦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의 역배열 상태가 상당기간 지속된이후 단기 이동평균선이 더이상 하락하지 못하고 상승하기 시작하면 바닥권으로 인식하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