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대 코인거래소 OKX
✅수수료 30% 최대할인 가입링크: https://www.okx.com/join/73657981
✅선물수수료 지정가 0.014%, 시장가 0.035%
○파동이론의 개요
1. 개요
주가는 연속적인 파동에 의해 상승하고 다시 하락 함으로써 상승5파와 하락3파의 8개 파동으로 구성된 하나의 사이클을 형성하며, 이후 새로운 상승5파와 하락3파에 의해 또 다른 사이클을 형성 한다는 것이다.
○각 파동의 특징
1. 상승5파
1) 1번 파동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으로 이제까지의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시점이며 다섯개의 파동중 가장 짧다.
1번 파동은 충격파동 이므로 반드시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된다.
2) 2번 파동
1번 파동과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 대개의 경우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38.2% 또는 61.8% 비율만큼 되돌리는 경향이 높고, 1번 파동을 100% 이상 되돌리는 경향은 없다. 이는 엘이어트 파동이론에서 절대불가침의 법칙에 해당된다.***
따라서 2번 파동이라 생각되는 파동이 1번파동을 100% 이상 되돌려 형성되면 이제까지의 1번 및 2번이라 생각되던 파동이 결코 1번 및 2번 파동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준다.
2번 파동은 성격상 조정파동 이므로 반드시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1번, 2번 파동은 이중 바닥형이나 역 헤드 앤 쇼울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3번 파동
3번 파동은 다섯 개의 파동 중에서 가장 강력하고 가격변동도 활발하게 일어나는 파동으로, 다섯 개의 파동중에서 가장 긴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다른 파동의 길이가 3번 파동보다 길 수는 있어도 3번파동이 가장 짧은 파동일 수는 없다.
이는 3번 파동이 가장 짧은 파동 일 수는 없다는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절대불가침 법칙으로 불리어지며,
어떠한 예외도 존재하지 않는다. ***
반드시, 3번 파동은 1번 파동에 비해 길이가 길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3번 파동은 1번 파동의 1.618배의 길이가 된다.
그리고 3번 파동은 충격파동 이므로 다섯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 되어야 하며 다른 형태로 연장 되는 수도 많다.
4) 4번 파동
4번 파동은 3번 파동을 38.2% 되돌리는 경우가 많으며, 3번 파동을 5개의 작은 파동으로 나누었을때 그 중에서 네번째 파동 만큼 되돌아 가는 경우가 많다.
***엘리어트 이론에서 절대불가침 세번째 법칙은 4번 파동이 결코 1번 파동과 겹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
따라서, 4번 파동의 최저점은 반드시 1번 파동의 최고점보다 높아야 하며, 1번 파동의 최고점은 반드시 4번 파동의 최저점보다 낮은 수준이어야 한다.
5) 5번 파동
5번 파동은 이제까지 진행 되어온 추세가 막바지에 이르는 국면으로서, 3번 파동에 비해 가격의 움직임이 그리 활발하지 못하며 거래량도 3번 파동에 비하여 적게 형성된다.
5번 파동 역시 충격파동 이므로 5개의 작은 파동으로 세분된다.
5번 파동은 일반적으로 1번 파동과 똑같은 길이로 형성 되거나, 1번에서 3번 파동까지 길이의 61.8% 만큼 형성되는 경향이 높다.
6) a 파동
a 파동부터는 이제까지의 추세와는 반대방향의 새로운 추세가 시작된다. a 파동으로 생각되는 파동은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충격파동이므로, 반드시 다섯 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a 파동이라고 생각되었던 파동이 세개의 파동만 구성하고 기존의 움직임이 재개 된다면, 이는 a 파동이 아니고 5번파동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7) b 파동
b 파동은 하락추세의 시작인 a 파동에 반대하는 매입세력으로 인해 상승추세가 잠시 이어지는 조정파동이며, 세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된다.
b 파동은 1번 파동의 상승추세가 다시 시작되는 것으로 믿기 쉬우나 이제까지의 보유주식을 매도할 마지막 기회이며, 이 시기를 놓치면 매도기회를 찾기가 어렵다.
8) c 파동
c 파동은 하락파동의 마지막 파동으로 거래는 활발하고 가격의 변동폭도 크게 나타난다. 가격의 하락추세가 자속될 것이라는 두려움이 사람의 마음을 지배하는 시기이다.
보통 c 파동은 a 파동의 최저점을 돌파하여 진행되는데 패턴분석의 관점에서 보면, 5번 파동과 a 파동으로 구성되는 머리를 중심으로 헤드 앤 쇼울더 패턴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파동은 충격파동 이므로 다섯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된다.
'엘리어트 파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조정파동 유형 (0) | 2023.06.08 |
---|---|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법칙과 원칙 및 주의사항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