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선물 분석법 모음

차트의 기본패턴분석(2)-캔들차트 보는요령(1개의 봉으로)

TradeMaster 2023. 6. 6. 13:17

★세계 3대 코인거래소 OKX

✅수수료 30% 최대할인 가입링크: https://www.okx.com/join/73657981

✅선물수수료 지정가 0.014%, 시장가 0.035%

 

캔들차트 보는요령(1개의 봉으로)

 

1. 긴 음봉(Long Body Black)

 

긴 음봉은 장중시가와 종가의 등락폭이 즉, 몸통이 이전 날들의 봉의 크기보다 매우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하락장세에서 음봉은 하락지속형으로 작용되지만 마르보쥬(Marubozu) 패턴 만큼 강하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이패턴의 형태만 가지고 매매에 임하기 보다는 향후 주가를 관찰해 가며 매매에 임하는것이 바람직하다.

 

2. 긴 양봉(Long Body White)

 

긴 양봉은 장중시가와 종가의 등락폭이 즉, 몸통이 이전 날들의 봉의 크기보다 매우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승장세에서 양봉은 상승지속형으로 작용하게 되지만 마르보쥬(Marubozu) 패턴 만큼 강하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이 패턴의 형태만으로 매매를 하기 보다는, 향후 주가를 관찰해 가며 매매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작은 양봉(Short Body White)

 

작은 양봉은 장중시가와 종가의 등락폭이 즉, 몸통이 이전날들의 봉의 몸통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형태만으로는 매매를 판단하기 힘들며 다만 전날 긴 양봉이 발생한 다음 상승 갭을 하며 작은디 양봉이 생겼다면 장세전환이 임박했다는 신호 정도로만 인식할수 있으며, 추후 장세전환 패턴이 완성된 다음에 매매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작은 음봉(Short Body Black)

 

작은 음봉이란 장중시가와 종가의 등락폭이 즉, 몸통이 이전 날들의 봉의 몸통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형태만으로는 매매를 판단하기 힘들며 다만 전날의 긴 음봉 발생한 다음 하락 갭을 하며 이 봉이 생겼다면 장세전환이 임박 했다는 신호 정도로만 인식할수 있으며, 추후 장세전환 패턴이 완성된 다음에 매매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완전 양봉(Marubozu White)

 

종가와 고가가 같고 또한 저가와 시가가 일치하는 경우로 매우 강한 상승장세를 반영하는 봉으로 상승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한다.

 반면, 가끔 상승국면의 마지막에 출현하여 하락반전의 신호로 작용하기도 한다.

6. 완전 음봉(Marubozu Black)

 

시가와 고가가 같고 저가와 종가가 일치하는 경우로 매우 취약한 하락장세를 반영하는 패턴의 형태로 종종 하락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한다.

반면에 가끔 하락 막바지 국면에 투매를 나타내며 강세전환 패턴의 첫날에 나타나기도 한다.

 

7. 윗꼬리 양봉(Opening White Marubozu)

 

밑꼬리 양봉 형태와 반대로 시가와 저가가 일치하며 아래쪽의 그림자를 가지고 있지 않고, 종가와 고가는 다른경우로 위쪽 그림자는 몸통보다 매우작은 형태의 패턴으로 강한 상승장세를 반영하는 봉으로서 상승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완전한 양봉 만큼 강하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8. 윗꼬리 음봉(Opening Black Marubozu)

 

밑꼬리 음봉 형태와 반대로 시가와 고가가 일치하며 위쪽 그림자를 가지고 있지않고 종가와 저가는 다른 경우로서 아래쪽의 그림자는 몸통보다 매우 작은 형태의 패턴으로 취약한 하락장세를 반영하는 하락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불완전한 음봉보다 강하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9. 밑꼬리 양봉(Closing White Marubozu)

 

윗꼬리 양봉의 형태와 반대로 종가와 고가가 일치하고 위쪽 그림자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시가와 저가는 다른 경우로서, 아래쪽의 그림자는 몸통보다 매우 작은 형태로 강한 상승장세를 반영하는 상승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한다.

 

10. 밑꼬리 음봉(Closing White Marubozu)

 

윗꼬리 음봉의 형태와 반대로 종가와 저가가 일치하며 아래쪽 그림자는 가지고 있지않고, 시가와 고가는 다른 경우로서, 위쪽 그림자는 몸통보다 작은 형태의 패턴으로 취약한 하락장세를 반영하는 봉의 형태로 하락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한다.

 

 

11. 큰떨림 일봉(High Wave Candle)

 

몸통에 비해 위, 아래 그림자가 상대적으로 상당히 길며 몸통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장중 거래범위 중간에 위치하는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이패턴은 상승과 하락이 불확실할 경우 즉, 매수세와 매도세의 균형이 팽팽한 시장 상황을 반영하는 패턴이다.

 

12. 망치형(Hammer)

 

몸통의 윗그림자가 거의 없고, 몸통아래 그림자가 몸통에 비해 매우 긴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하락장에서 발생한 이패턴은 과매도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시장이 거의 바닥권에 위치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어, 향후 상승 반전될 가능성이 있고 하락장에서 바닥권에 이 패턴이 발생하였다면 매수해야 하며 모양이 같은 교수형(Hanging Man) 패턴과는 추세에 따라 반대로 작용한다.

 

13. 역전된 망치형(Inverted Hammer)

 

몸통의 아래쪽 그림자가 거의없고, 몸통의 위쪽 그림자가 몸통에 비해 매우 긴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일봉의 색깔은 그리 중요하지 않으며, 다만 하락장세 도중에 이 패턴의 출현은 상승반전 신호로 작용할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 형태와 같은 유성형(Shooting Star)과 구분되어 지는 점은 하락추세에서 이 형태는 상승반전 작용을, 상승추세에서 이 형태는 하락반전 신호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14. 비석 십자형(Complete Gravestone Doji)

 

종가와 시가,저가가 모두 일치하고 윗그림자가 긴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시가이후 장중에 상승세를 보이다가 종가가 장중저가인 시가와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해서 마감할 경우 생기는 패턴으로, 상승추세의 고점에서 발생했을 경우 하락전환 가능성이 높으며 윗그림자가 길수록 신뢰성이 높으며 횡보국면이나 하락추세이후 발생했다면 상승반전 신호로 작용하기도 한다.

 

15. 점 십자형(Four Price Doji)

 

시가, 고가, 저가, 종가의 가격이 모두 일치할때 발생하는 십자형(Doji) 형태의 패턴으로 유동성이 매우 적은 경우로서 종가이외에는 어떤시세도 성립되지 않는 경우로서 상한가, 하한가로 거래가 형성된 경우나 거래가 일체 형성되지 않은 경우로 향후 주가 방향을 전혀 예측할수 없게 작용하는 패턴이다.

 

16. T 자형(Complete Dragonfly Doji)

 

십자형(Doji)형태중의 하나로, 시가와 종가 그리고 고가가 일치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패턴으로, 일반적으로 주가전환시점에서 많이 발생하는 형태이며 하락추세의 막바지에 발생하면 상승 반전형 패턴으로 작용하며, 상승중에 있을경우 계속 상승 작용을 하게 된다.

 

17. 샛별형(Star)

 

몸통의 길이가 매우 작고 또한 위, 아래 그림자 중의 하나가 몸통의 길이와 비슷한 경우의 패턴으로 종종 전날의 긴 몸통을 가진 봉과 함께 전환경고 신호로 작용하는 기능을 가진 패턴이다.

단일봉 만으로는 특별한 작용을 한다고 볼수없는 형태이지만 상승 또는 하락 반전 패턴을 완성하는 중요한 요소의 패턴으로 작용한다.

 

18. 유성형(Shooting Star)

 

몸통의 아래쪽 그림자가없고 몸통의 위쪽그림자가 몸통에 비해 매우 긴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봉의 색깔은 그리 중요하지 않으며, 다만 상승장세 도중 이 패턴의 출현은 하락반전 신호로 작용할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형태와 같은 역전된 망치형(Inverted Hammer)과 구분되어 지는점은 상승추세에서 이 형태는 하락반전 작용을 하락추세에서 이형태는 상승반전 신호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19. 교수형(Hanging Man)

 

몸통의 윗그림자가 거의 없고 몸통아래 그림자가 몸통에 비해 매우 긴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상승장에서 발생한 패턴은 과매수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시장이 거의 정상권에 위치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어, 향후 하락 반전될 가능성이 높아 상승장에서 정상권에 이패턴이 발생하면 매도해야 하며, 모양이 같은 망치형(Hammer) 패턴과는 추세에 따라 반대작용을 하게 된다.

 

20. 강세 전환형(Bullish Belt Hold)

 

시가와 고가가 일치하며 장중에 주가가 상승하면서 윗꼭지 음봉(Opening Black Marubozu)형태를 가지는 패턴으로

하락추세에서 나타난 이패턴은 상승 반전작용을 하게 되며, 몸통의 길이가 길수록 상승반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긴 하락추세 도중 바닥권에서 이 패턴이 발생했다면 매수를 고려해야 하며 반면, 다음날 종가가 양봉아래에서 형성된다면 새로운 매도세력의 출현으로 하락추세가 다시 지속된다고 볼수있다.

 

21. 약세 전환형(Bearish Belt Hold)

 

시가와 고가가 일치하며 장중에 주가가 하락하면서 윗꼬리 음봉(Opening Black Marubozu)형태를 가지는 패턴으로 상승추세에서 나타난 이패턴은 하락 반전 작용을 하게 되며 몸통의 길이가 길수록 하락반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긴 상승추세 도중 정상권에서 이패턴이 발생 했다면 매도를 고려해야 하며 반면 다음날 종가가 음봉위에서 형성된다면 상승추세가 진행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수 있다.

 

22. 우산형(Paper Umbrella)

 

몸통의 윗그림자가 거의 없고 몸통에 비해 매우 긴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망치형(Hammer)과 교수형(Haning Man)패턴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교수형(Haning Man)은 상승추세 형성되어 향후 주가의 하락반전을 암시하며 망치형(Hammer)은 하락추세 도중에 형성되어 향후 주가의 상승반전을 암시한다.

이러한 망치형과 교수형 패턴으로서 볼수 있으려면 명확한 추세의 형성아래 이와같이 패턴이 형성되었다면, 향후 추세반전을 예상할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