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어트 파동이론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법칙과 원칙 및 주의사항

TradeMaster 2023. 6. 8. 07:32

★세계 3대 코인거래소 OKX

✅수수료 30% 최대할인 가입링크: https://www.okx.com/join/73657981

✅선물수수료 지정가 0.014%, 시장가 0.035%

 

○파동의 법칙 과 원칙

-절대 불변의 법칙
1) 절대 불변의 법칙
법칙 1 : 2번 파동이 1번 파동을 100% 이상 되돌리는 경우는 절대로 없으며, 대개의 경우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38.2%, 혹은 61.8%되돌리는 경향이 있다.


2) 법칙 2: 1.3.5의 충격파동 중 3번 파동이 가장 짧은 파동일 수는 없다. 보통 3번 파동은 가장 강력한 파동이어서 파동의 길이가 가장 길고 거래량도 활발한 경우가 많다.


3) 법칙 3: 4번 파동은 결코 1번 파동과 겹치지 않는다. 즉 4번 파동의 최저점이 1번 파동의 최고점 보다 높아야 한다.

 

-파동 변화의 원칙

파동 변화의 원칙은 각 파동을 세분화 하였을때 동일한 패턴이 지속되기 보다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고 변화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으로
예를들어, 2번의 조정파동이 플랫형 패턴을 보이면 4번 파동은 지그재그형 패턴이 나타나고, 반대로 2번이 지그재그형 패턴이 나타나면 4번은 플랫형 패턴을 보이는 등, 두 파동이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고 나타난다는 것이다. 

 
-파동 연장의 원칙

충격파동은 그 움직임이 활발하여 때로는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파동의 길이보다 길고 강력하게 나타나므로 하나의 충격파동 안에 다시 커다란 다섯개의 파동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같은 경우 파동이 연장 되었다고 한다. 
파동의 연장은 1.3.5 파동의 충격파동만이 나타나며 2.4번 파동의 조정파동과 a.b.c 의 하락파동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연장 파동은 한 싸이클 안에서 단 한번만 나타나므로 1.3.5번 파동 중에서 한개 만이 나타날 수 있다.

 

-파동 균등의 원칙

파동 균등의 원칙이란 충격파동인 1.3.5 파동 중에서 두개의 파동은 그 길이가 비슷할 확률이 높다는 것으로서, 특히. 3번 파동이 연장 되었을 경우 1번 파동과 5번 파동의 길이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향후 주가 목표치 계산에 상당한 도움을 얻을수 있는 원칙으로 만일 3번파동이 연장 되었음이 확실하고 4번 파동이 끝나는 시점이라면 5번 파동은 1번 파동과 비슷한 길이로 상승할 것이라는 점이다.



○파동 적용시 주의사항

*** 파동이론 적용시 주의사항 ***
** 진행구간의 시간예측과 각 파동별 전환시점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 **

1. 한 파동이 어디서 끝나고 어디서 시작 되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즉, 파동의 정점과 바닥 혹은 정점과 정점 사이의 시간 예측에 대한 어떠한 지표가 없기 때문에, 파동이 언제 시작 되는지를 예측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2. 각 단계의 전환시작점을 확인하기 어렵다. 
다시말해서, 어느 파동이 끝나 다른 파동이 진행 중이라고 믿고 있다 하더라도, 파동 불변의 법칙에 의하여 이전 파동의 연장일 수도 있기 때문에, 새로운 파동의 진행이 아닌 경우도 발생 한다는 점이다.

*** 이와 같은 적용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400년 통계학(주식투자의 심리학)으로서, 각 증권회사나 투자전문가들이 향후 주가전망을 예측할 때는, 선행지표로서 반드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